봄철에 자주 발생하는 식중독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특히 요즘같이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나들이 도시락, 배달 음식,
가정에서 만든 반찬 등을 통해 식중독 환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3월28일 나온 식품의약품 안전처 정책뉴스에 따르면 지금 시기
즉 3~5월, 봄철이 식중독 발생이 가장 많은 시기입니다.
🌸 봄철에 식중독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
식중독은 일반적으로 여름에만 조심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봄철이 가장 위험한 시기입니다.
그 이유는 바로 큰 일교차 때문입니다.
아침·저녁엔 쌀쌀하지만, 낮에는 기온이 20도 이상 올라가는 날이 많죠.
이 때문에 아침에 조리한 음식이 낮 동안 실온에 방치되기 쉽고,
이때 음식 속에 남아있던 식중독균이 활발하게 증식할 수 있습니다.
🍱 봄철 식중독, 주로 어떤 음식에서 발생할까?
특히 주의해야 할 음식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육류 조리식품 (갈비찜, 제육볶음, 불고기, 닭갈비 등)
✅ 대량 조리한 도시락·김밥·반찬
✅ 배달 음식 (장시간 이동·보관되는 경우)
🦠 식중독의 주요 원인 – 퍼프린젠스균
봄철 식중독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원인이 바로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균(Clostridium perfringens)입니다.
이 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가열 과정에서도 살아남는 '아포(spore)' 형태로 존재합니다.
- 산소가 없는 환경, 아미노산이 많은 환경에서 증식됩니다.
- 조리 후 60℃ 이하, 특히 실온에서 장시간 방치할 경우 증식됩니다.
갈비찜처럼 대량으로 조리한 후 실온에 두거나, 조리 후 즉시
섭취하지 않고 몇 시간 동안 방치된 음식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 식중독을 예방하는 방법
식중독은 조리와 보관 단계에서 몇 가지만 주의하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조리할 때
- 육류 등은 중심 온도 75℃에서 1분 이상 완전히 익혀야 합니다.
- 대량 조리 시 한 번에 많은 양을 끓이고 바로 식히지 않는 것 금지해 합니다.
✅ 보관할 때
- 조리한 음식은 가능한 2시간 이내 섭취해야 합니다.
- 음식이 남았다면 여러 개의 용기에 나눠 담고 5℃ 이하에서 보관해야 합니다.
- 뜨거운 음식을 바로 냉장고에 넣지 말고, 충분히 식힌 후 보관합니다.
✅ 섭취 전
- 보관된 음식은 반드시 75℃ 이상으로 재가열 후 섭취
⚠️ 우리가 놓치기 쉬운 사례들
의외로 이런 경우들이 식중독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갈비찜, 불고기 등 대량 조리 후 실온에 두고 저녁까지 먹는 경우
❗ 아이들 도시락 반찬을 아침에 만들어 놓고, 기온이 오른 점심시간까지 방치하는 경우
❗ 배달 음식이나 캠핑 음식 등 외부 활동에서 장시간 보관 후 섭취
❗ 냉장고에 바로 넣지 않고 싱크대나 식탁에 몇 시간 둔 후 보관
❗ '충분히 끓였으니 괜찮겠지'라는 방심
끓인 음식이라고 무조건 안전하지 않습니다.
**아포(휴면 상태의 식중독균)**가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실온 방치가 가장 위험합니다.
✅ 마무리
봄철 나들이, 캠핑, 배달음식 이용이 많아지는 시기, 식중독 사고도 급증합니다.
특히 퍼프린젠스균처럼 가열해도 아포 상태로 남아있는 균은 방심하면
대량 식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맛있게 준비한 음식이 식중독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조리 → 보관 → 섭취 전 과정에서 위생수칙을 철저히 지키시길 바랍니다.
경기도민, 모르면 손해! 2025년 경기도 복지사업 총정리
경기도민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2025년 경기도 복지사업 정보를 한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경기도에서는 매년 다양한 생활, 일자리, 교육, 복지, 보훈 분야의 지원사업들을 운영하고 있습
woocho1.com
'생활 속 정책 브리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산불 피해 기업 지원, 재해손실 세액공제 신청 (6) | 2025.03.31 |
---|---|
4월 이후 만19세 청년 주목! 2025 서울 청년수당 하반기 신청 안내 (13) | 2025.03.30 |
부담 없이 시작하는 힐링되는 전원생활 (5) | 2025.03.29 |
25년 온라인 판매업, 정부지원 많이 달라졌다. (2) | 2025.03.29 |
경기도민, 모르면 손해! 2025년 경기도 복지사업 총정리 (13)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