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정책 브리핑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대상 및 기간, 신청방법, 사용시 주의사항 정리

by '나루지기' 2025. 7. 28.
반응형

📌 부담경감 크레딧이란?

정부가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의 고정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공공요금과 4대 보험료 납부에 사용할 수 있도록 1인당 50만 원의 디지털 포인트를 본인 명의 카드로 지급하는 지원제도입니다.
복잡한 서류 없이 신청만으로 바로 수령 가능하며 실제 납부 시 자동 차감되는 구조로 현장 활용도가 높습니다.

🧾 지원대상

‘24년 또는 ’25년 연 매출액 0원 초과 3억 원 이하이며, 현재 영업 중인 소상공인이라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25년 5월 1일(정부가 고시한 기준일) 이전에 개업한 소상공인만 신청 가능합니다  
해당 기준일 이후 개업자는 이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매출액 산정 기준

  • 국세청에 신고된 매출 자료 기준으로 자동 확인 (신청 시 동의 필요)

📆 개업 시점에 따른 매출액 산정 방식

  • 2024년 이전 개업자: ’24년 신고된 1년 매출액 기준
  • ’24년~’25년 4월 개업자: 개업 이후 월평균 매출 X 12개월 (연 환산)

📌 예시

2025년 1월 개업 → 4월까지 총 매출 5,000만 원 발생

✅ 올바른 계산 방식
월 평균 매출 = 5,000만 원 ÷ 4개월 = 1,250만 원
연 환산 매출 = 1,250만 원 × 12개월 = 1억 5,000만 원
→ 🎯 지원 대상 해당 (3억 원 이하)

🗓️ 신청기간

2025년 7월 14일(월) 09:00 ~ 11월 28일(금) 18:00까지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빠르게 신청 권장

💻 신청방법

부담경감크레딧.kr 전용 누리집 접속
➤ 본인 인증 후 카드 정보 등록
➤ 별도 서류 없이 간편 신청 완료

⛔ 중복지원 제한 안내

1인이 다수 사업체(법인·개인 무관)의 대표자인 경우  
1곳만 신청 가능하며 공동대표 사업체는 주대표 1인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예시  
A업장 매출 4억  
B업장 매출 2억  
C업장 매출 5억  
→ 조건 충족하는 B업장만 신청 가능

💳 사용방법

등록한 카드로 공공요금 또는 4대 보험료 납부 시 자동 차감

✅ 사용 가능한 항목
- 전기요금 (한전ON 앱)
- 수도요금 (모바일지로)
- 도시가스요금
-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산재보험 카드납부
- 사업장 생필품·사무용품 등 운영비 결제

⚠️ 사용 시 주의사항 

🔹 복합결제 일부 제한
크레딧과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함께 사용하는 복합결제는 가능하지만,
카드 포인트나 기타 결제수단(예: 상품권, 모바일페이 등)과의 복합결제는 불가능합니다.

🔹 할부 결제 불가
할부(분할 납부)는 불가하며, 반드시 일시불 결제만 가능합니다.

🔹 지방세 납부 불가
재산세, 자동차세 등 지방세 및 세외수입 납부에는 크레딧 사용이 불가합니다.

⛔ 사용 불가 업종

- 유흥업소, 사행성 업종
- 외국계 대형마트 등 일부 제한 가맹점

📞 문의처

- 부담경감 크레딧 전용 콜센터 ☎ 1533-0600 / 1533-0100 (내선 2번)
- 중소벤처기업부 / 소진공 홈페이지 Q&A 게시판도 운영 중

 

소상공인이라면 꼭 함께 보세요 

 

 

소상공인 고용보험 100%|1등급이면 5년간 전액 지원받는 방법 및 신청방법

자영업자도 실업급여, 출산급여, 육아휴직급여를 받을 수 있는 고용보험,하지만 보험료 부담으로 주저하셨나요?지금은 다릅니다.정부(중기부) + 지자체가 함께 지원하여, 기준보수 1등급 소상공

woocho1.com

 

반응형